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꾸물거림(미루기) 극복법 – 완벽주의와 동기부여를 넘어서(feat.이동귀 연세대 심리학교수)

by 흥부자유 2025. 3. 11.

꾸물거림(미루기) 극복법 – 완벽주의와 동기부여를 넘어서

 

꾸물거림(Procrastination)이란?

많은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을 미루면서 불안함을 느낀다. 하지만 꾸물거림은 단순한 시간 관리 문제가 아니라 감정 조절의 문제다.

 

“나는 게을러서 일을 미루는 거야”라는 생각은 틀렸다.
“나는 너무 잘하고 싶어서 미루는 거야”라는 것이 더 정확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꾸물거림의 심리적 원인과 효과적인 극복 방법을 알아보겠다.

2. 꾸물거리는 이유와 심리적 원인

1) 미루기는 감정 조절의 문제다

많은 사람들이 꾸물거림을 시간 관리의 실패로 생각한다.
하지만 강연자는 꾸물거림은 감정 조절 문제라고 강조했다.

 

“해야 할 일이 부담스럽고 두려우니까, 감정을 회피하기 위해 미루는 것이다.”

 

🔹 교훈

  • 꾸물거림을 줄이려면 감정 관리가 먼저 필요하다.
  • ‘미루기’를 ‘귀여운 꾸물거림’으로 생각하면 부담이 줄어든다.

 

2) 수동적 꾸물거림 vs 능동적 꾸물거림

“꾸물거림에도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수동적 꾸물거림:
    • 해야 할 일이 있지만 자꾸 딴짓을 하며 미루는 것
    • 불안감이 커지고 죄책감을 느낌
    • 마감이 지나면서 큰 스트레스를 받음
  2. 능동적 꾸물거림:
    • 마감 직전에 몰아서 일을 하는 사람들
    • 마감이 다가와야 집중력이 높아지는 유형
    • 그러나 마감이 지켜진다면 문제되지 않음

🔹 교훈

  • 당신은 어떤 유형의 꾸물거림을 하고 있는가?
  • 수동적 꾸물거림이라면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

 

3) 꾸물거림의 5단계

꾸물거림은 다섯 가지 단계를 거친다.

  1. 계획 지연: 계획을 세우는 것 자체를 미룬다.
  2. 착수 지연: 일을 시작하지 못한다.
  3. 지속 지연: 일을 시작했지만, 중간에 자꾸 딴짓을 한다.
  4. 완수 지연: 끝내지 못하고 질질 끈다.
  5. 자책 단계: “이렇게 할 걸” 하면서 후회하고 자책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2단계(착수 지연)에서 멈춰 있다.”

 

🔹 교훈

  • 작은 행동이라도 시작하면 꾸물거림의 90%는 해결된다.

 

3. 완벽주의가 꾸물거림을 부른다

1) 실패에 대한 두려움

“나는 일을 잘하고 싶어서 미루는 것이다.” 

완벽주의적인 사람들은 높은 기준을 세우고, 실패를 두려워한다. 그래서 시작하기 전에 너무 많은 생각을 하다가 결국 미루게 된다.

 

🔹 교훈

  • 100%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 70% 완성도면 일단 시작하라.

 

2) 높은 기준과 자기 비난

“완벽주의자는 기준이 너무 높아서 결국 스스로를 괴롭힌다.”

 

잘못된 사고방식:

  • “이걸 완벽하게 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어.”
  • “나는 너무 부족해.”

올바른 사고방식:

  • “완벽하지 않아도 충분하다.”
  • “나는 이미 노력하고 있다.”

🔹 교훈

  •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스스로에게 말하라.

 

4. 꾸물거림 극복 전략

1) 15분 행동 원칙

“일을 시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5분만 해보는 것이다.”

 

예시:

  • 운동을 해야 한다면? → 일단 15분만 걷자.
  • 공부를 해야 한다면? → 15분만 책을 읽자.

🔹 교훈

  • 15분만 시작하면 1시간도 할 수 있다.

 

2) ‘시작 중심’의 접근법

“데드라인 중심이 아니라, 시작 중심으로 생각하라.”

 

나쁜 예:

  • “이거 내일까지 끝내야 해!”

좋은 예:

  • “초안만 먼저 써보자.”
  • “2페이지만 먼저 작성해 보자.”

🔹 교훈

  •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라.

 

5. 꾸물거리는 사람과 함께 일하는 법

1) 압박이 아닌 격려가 필요하다

“꾸물거리는 사람에게 압박을 주면 더 얼어붙는다.”

 

나쁜 방법:

  • “왜 아직도 안 했어?”
  • “내일까지 무조건 끝내!”

좋은 방법:

  • “초안을 언제 볼 수 있을까?”
  • “10시까지 간단하게라도 가져와 봐.”

🔹 교훈

  • 부담을 줄이고, 작은 행동부터 유도하라.

 

6. 결론: 꾸물거림을 줄이고 주도적인 삶 살기

꾸물거림을 극복하는 핵심 원칙


✔ 꾸물거림은 감정 조절의 문제다.
✔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70% 완성도를 목표로 하라.
✔ 15분 행동 원칙을 적용하라.
✔ 데드라인이 아닌 ‘시작’을 강조하라.

 

🔹 지금 바로 행동하라!


지금 이 순간, 해야 할 일을 15분만 시작해보자.
그러면 꾸물거림의 90%는 해결될 것이다.